영화 1987 실화 그 뜨거웠던 현장을 보여주다.
이번에 추천드릴 영화 1987 실화 바탕으로 제작되어 더욱 몰입감을 높였고 6월 항쟁이 뜨거울 수밖에 없었던 이유와 얽혀 있던 사실 등을 알려주는 영화로 한 번쯤 봐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준비해보았습니다.
1987의 줄거리
1987년 1월 14일,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경찰 조사받던 스물두 살 대학생 박종철이 고문으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다.
증거인멸을 위해 박 처장(김윤석)의 주도 하에 경찰은 담당 의사와 검찰을 협박하여 시신 화장을 요청하지만, 사망 당일 당직이었던 최 검사(하정우)는 강한 협박에도 불구하고 부검을 밀어붙인다.
경찰은 단순 쇼크사인 것처럼 거짓 발표를 이어가지만 현장에 남은 흔적들과 부검 소견은 고문에 의한 사망을 가리키고, 사건을 취재하던 윤 기자(이희준)는 ‘물고문 도중 질식사’를 보도하고 사건 은폐를 저지하고 사실을 알리기 위해 노력한다.
경찰에서는 청와대의 압박을 받고 박 처장은 조반장(박희순)등 형사 둘만 구속시키며 사건을 축소하려 하는데
한편, 교도소에 수감된 조반장을 통해 사건의 진상을 알게 된 교도관 한 병용(유해진)은
이 사실을 수배 중인 재야인사에게 전달하기 위해 조카인 연희(김태리)에게 위험한 부탁을 하게 되는데...
한 사람이 죽고, 모든 것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모두가 뜨거웠던 1987년의 이야기.
과연 그들의 선택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것인가?
1987의 인물
대 공수 사처 박 처장(김윤석) = 권력과 잘못된 신념을 고집으로 밀고 나가는 인물이며 실제 인물.
서울지검 최 검사(하정우) = 박 처장의 불의에 맞서 정의를 실현하는 인물이며 실제 인물.
교도관 한 병용(유해진) = 일명 ‘비둘기’로 불렸던 재야인사의 옥중서신을 바깥으로 전달하는 실제 인물을 바탕으로 한 양심 교도관
87학번 신입생 연희(김태리) = 한 병 용의 조카로 삼촌이 위험에 처할까 걱정하고 대학 입학 후 동료 학생들의 시위를 보며 갈등하는 87학번 신입생
대 공수 사처 조반장(박희순) = 박 처장의 명령을 받들다 수감되는 대공 형사
치안본부장(우현) = 권력만을 지키기 위해 애쓰는 무능한 경찰 총수
사회부 윤 기자(이희준) = 서슬 퍼런 보도지침에 맞서 진실을 알리려는 노력을 멈추지 않는 기자
사회부장(고창석)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특별취재반을 구성한 일간지 사회부장
이부영(김의성) = 수감 중 한 병 용의 도움으로 진실을 담은 옥중서신을 적어 보내는 민주화 인사
박종철(여진구) = 민주운동가로 영화의 중심이 되는 인물이며 실제 인물.
김정남(설경구) = 도피 중인 재야인사
이한열(강동원) = 학생운동가로 머리에 최루탄을 맞고 사망하는 사고로 6월 항쟁에 도화선이 된 실제 인물.
1987의 캐스팅 이야기
1987의 캐스팅에는 셀프 캐스팅과 실제 역사 속 인물과의 인연들이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대 공수 사처 박 처장 역의 배우 김윤석과 일간지 사회부장 역의 배우 오달수는 고 박종철 열사의 고등학교 2년 후배이고,
박종철의 삼촌 역에 배우 조우진과 진실의 성명서를 발표하는 신부 역에 배우 정인기는 작은 역이라도 참여하고 싶다 하여 셀프 캐스팅한 것으로 알려진다. 엔딩 크레디트에 등장하여 박종철 열사와 이한열 열사를 오열하며 외치는 고 문익환 목사의 아들인 배우 문성근은 당시 정권 실세인 안기부장 역을 맡았다. 치안본부장 역을 맡은 배우 우현은 1987년 당시의 치열한 상황의 중심에 있었던 인물로 연세대 총학생회 집행부였고 고 이한열 열사의 장례식은 물론 49제 행사를 이끌었다고 한다.
1987을 보고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습니다”
이것이 말이 되는 것인가.
1987년 1월 한 대학생의 무고한 죽음이 6월의 광장으로 이어지고 진실을 은폐하려는 경찰과 권력 수뇌부에 맞서 각자의 자리에서 신념을 건 선택을 했던 사람들 모두가 용기 있는 선택을 하며, 그 선택에 충실했던 이들의 행동이 연쇄적으로 사슬처럼 맞물리면서 거대한 파동을 만들어냈다.
영화의 한 장면에서 유골을 차갑게 얼어붙은 강물 속에 흘려보내야 했던 한 가족과 바람에 잘 흩날려 가지 못하는 유골을 보며 슬픔에 오열하며 억울하게 죽은 대학생에 아버지의 가슴이 미어지는 것을 보고 나 또한 슬픔과 분노를 느낄 수밖에 없었다.
영화에서는 한 인물이 즉 영웅이 나와서 이끌고 상황을 바꾸고 하지는 않는다. 일반 시민들이 모여 권력의 부정부패 맞서 피땀 흘려 싸우고 정의를 수호하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성장이 있었음과 민주주의를 위해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희생이 있는 값진 선물이자 미래에 남기는 메시지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
댓글 쓰기